현재 전시
포스코 미술관에서 현재 진행중인 전시입니다.
- 작품크기53.6×56.7cm
- 제작년도16세기 중반
- 재료비단에 먹과 수묵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2025-08-19 ~ 2025-11-09
- 관람시간
- 월수목금 10:00-18:00 화 10:00-20:00 토일 11:00-16:00
- 전시 작품수
- 51건
- 작가
- 궤은 이기룡(1600-?), 연담 김명국(1600-1662 이후), 설봉 김의신(1603-1663 이후), 단원 김홍도(1745-?), 혜산 유숙(1827-1873) 등
- 전시개요
- 유현재(幽玄齋)는 일본 교토에서 고미술품점인 이조당(李朝堂)을 운영하며 약 40여 년간 한국미술품을 수집했던 이리에 다케오(入江毅夫)의 자택 당호이다. 1996년 다케오는 자신의 소장품 730점을 수록한 『유현재선한국고서화도록(幽玄齋選韓國古書畵圖錄)』을 발간한다. 당시 그 도록은 한국의 고미술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유현재는 일본의 저명한 한국미술 소장처로 알려지게 된다. 이후 유현재 컬렉션은 1997년 재일교포 3세 수장가 나카무라(中村·한국명 진창식)에게 모두 넘어갔고, 그가 사망하면서 컬렉션 일부가 한국으로 돌아오게 된다.
2025년 8월 19일(화)부터 11월 9일(일)까지 진행되는 포스코미술관 기획전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에서는 유현재 컬렉션 50여 점을 일반인들에게 처음으로 공개한다. 조선초기부터 근대기까지의 산수화, 인물풍속화, 화조화훼영모화와 함께 기록화와 궁중회화, 서예까지 한 자리에서 다채롭게 살펴볼 수 있다. 특히, 17세기 초부터 19세기 초까지 조선통신사로 일본을 방문하며 화원들이 남긴 회화가 일부 포함되어 당시 문화교류의 현장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전시는 숨겨져 있던 우리 문화재의 예술성과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그동안 유현재 컬렉션을 도판이나 도록으로만 접했던 국내 미술사학자들에게 중요한 연구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선 미술사의 빈 페이지들을 채워나가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챕터로 자리하며, 한국미술의 가치와 변화과정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Yuhyeonjae' was the name of the residence of Irie Takeo, who operated an antique shop called Richōdō in Kyoto, Japan, and collected Korean artworks for about 40 years. In 1996, Takeo published Illustrated Catalog of Old Korean Calligraphy and Painting from the 'Yuhyeonjae Collection' that included 730 items from his collection. At the time, the catalog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traditional art community, and Yuhyeonjae became known as a renowned repository for Korean art in Japan. In 1997, the entire collection was transferred to Nakamura (Korean name: Jin Chang-sik), a third-generation Zainichi Korean collector. After his passing, part of the collection returned to Korea.
The curated exhibition, The Hidden Chapter: The Return of Joseon Treasures after 500 Years, will be held at POSCO Art Museum from Tuesday, August 19 to Sunday, November 9, 2025. For the first time, over 50 artworks from the Yuhyeonjae Collection will be unveiled to the public. This exhibition presents a diverse range of traditional artworks – including sansuhwa (landscape painting), inmul-pungsokhwa (portrait and genre painting), hwajo-hwahoe-yeongmohwa (flower-bird-plant-animal painting), girokhwa (documentary painting), gungjung hoehwa (court painting), gosado (narrative painting based on classical stories), and seoye (calligraphy) – spanning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Notably, it features works created by court painters who were dispatched to Japan as part of the Joseon Tongsinsa diplomatic missions, offering a glimpse into historical moment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exhibition is expected to offer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the artist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our once-hidden cultural heritage. It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search platform for domestic art historians, who until now, have had access to the Yuhyeonjae Collection only through plates and catalogues.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process of filling in the blank pages of Joseon art history, this exhibition will establish a meaningful new chapter and cast new light on the value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art.